이 버튼 하나 때문에 전환율이 두 배 올랐다고?
그런데 아직도 button 태그를 모르고 쓰고 있다고요?
우리가 매일 누르는 그 버튼, 그냥 눌린다고 끝이 아닙니다.
HTML에서의 button 태그는 단순한 트리거 이상의 의미를 가집니다.
오늘은 겉보다 속이 중요한 <button> 태그에 대해 조금 더 깊이 있게 이야기해보려 합니다.
오늘 배울 태그는
<button>입니다.
<button>클릭하세요</button>
가장 기본적인 버튼 형태입니다.
button 태그는 사용자 액션을 받을 수 있는 대표적인 요소로, 웹에서 클릭 이벤트를 전달하는 핵심 인터페이스죠.
기본적으로 폼 안에서 사용되면 submit 역할을 자동으로 가지지만, 그 외에도 다양한 동작을 자유롭게 지정할 수 있습니다.
<button type="button" onclick="alert('안녕하세요!')">
인사하기 👋
</button>
이 버튼은 onclick 이벤트를 활용해 사용자가 클릭했을 때 간단한 알림을 띄우는 예제입니다.
여기서 중요한 건 type="button"
속성입니다. 기본값인 submit
과 구분해서 폼 제출을 막고 독립된 액션을 수행하게 해줍니다.
form 안에 button이 들어갈 경우엔 반드시 type을 명시하세요.
<button style="background-color: #e0f2fe; border: none; padding: 12px 24px; border-radius: 8px;">
스타일 입힌 버튼 ✨
</button>
HTML의 button은 기본 형태가 투박하기 때문에 대부분은 CSS를 통해 꾸며서 사용합니다.
위 예시는 배경색, 패딩, 테두리, 모서리 둥글기 등을 설정해서 심플하면서도 시각적으로 부드러운 버튼을 만들었습니다.
사용자에게 누르고 싶게 만드는 디자인, 이런 데서 차이가 생깁니다.
<button disabled>
비활성화된 버튼
</button>
disabled
속성은 버튼을 클릭할 수 없게 비활성화하는 데 사용됩니다.
주로 조건이 충족되지 않았거나 입력값 검증이 필요할 때 쓰이죠.
스타일링을 통해 시각적으로도 비활성화 상태임을 보여주는 것이 좋습니다.
<form onsubmit="event.preventDefault(); alert('제출 완료!')">
<input type="text" placeholder="이름 입력" required>
<button type="submit">제출하기</button>
</form>
폼 안에서의 button은 type="submit"
을 기본으로 가지고 있어서 폼을 전송하는 역할을 합니다. event.preventDefault()
를 통해 실제 전송을 막고, 프론트엔드에서 검증 후 처리하는 방식도 흔하게 사용됩니다.
JS와 HTML이 어떻게 협력하는지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이기도 하죠.
💡 button vs input?
마무리하며 🌱
👉 더 많은 HTML 팁은 제 블로그에서 확인해보세요 https://jjaeho.tistory.com
배웠다 말았다 다시 시작했다😎
흥미로운 나만의 홈페이지를 만들기 위한 공간입니다. #Pixel #Art #HTML #CSS #JAVASCRIPT
jjaeho.tistory.com
'HTML,CSS,JavaScript > HTML,CSS,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HTML] 특수문자 아직도 헷갈린다고?? (0) | 2025.04.04 |
---|---|
[HTML] Form 미츠따~ (0) | 2025.04.04 |
[HTML] div태그 기본인건 알지?? (1) | 2025.04.03 |
[HTML] li 지금까지 제대로 썼어?? (1) | 2025.04.03 |
[HTML] a 태그 제대로 알고 사용하자! (2) | 2025.04.03 |